경영가치
뷔나에너지의 기업 목표는 아시아태평양지역의 전력자원에 풍력과 태양광 발전의 공급을 촉진하여 기후변화와 자연 자원의 고갈에 대응하는 것입니다.
아시아태평양지역에 폭넓은 기반을 가진 순수 재생에너지 기업으로서, 뷔나에너지는 청정재생에너지 발전을 통해 경제의 저탄소화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프로젝트 현장이 위치한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환경을 보호하고 지역 경제 개발을 도모합니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노력
지속가능성은 뷔나에너지가 임직원, 공급사, 계약당사자, 투자자, 파트너, 그리고 특히 환경과 자사의 프로젝트가 위치한 지역사회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에게 결과 및 혜택을 전달 드릴 때에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기업전략입니다.
뷔나에너지는 환경과 지역경제에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환경 및 사회적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고 사업 기회를 확대하면서 이를 달성합니다.
뷔나에너지는 저탄소 및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활동과 지속가능한 녹색프로젝트들에 투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성을 사업 수행 방식에 통합하기 위하여, 뷔나에너지는 지속가능성 의제를 진전시키기 위한 파트너쉽과 이니셔티브를 적극적으로 지원합니다.



녹색금융프레임워크 (Green Financing Framework)
기후변화와 자원의 고갈과 같은 문제가 더욱 대두되는 시점에서, 비즈니스와 금융계는 각 사 활동에 대한 내부감사 및 계약상대사의 활동에 대한 검토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보다 많은 투자자와 기업들이 투자대상 또는 협력체의 환경적, 사회적 영향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이해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에 대한 공개의무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뷔나에너지는 2018년부터 자발적으로 종합적인 녹색금융프레임워크 (Green Financing Framework)를 설정하여 자사의 개발 및 정보공개 활동을 강화하고 자사의 이해관계자들에게 투명성과 책임을 보장해왔습니다.
뷔나에너지의 녹색금융프레임워크는 Vigeo Eirise와 일본신용도기관에서 독립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두 기관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했습니다.
환경, 사회, 경영관리 (ESG)
뷔나에너지는 자사의 모든 활동에 대해 지역 및 국제기준을 준수한 다음과 같은 종합적인 ESG 정책을 시행합니다.
- 지역 환경, 보건, 안전 규정 및 법규
- 국제금융기관 성과기준
- 월드뱅크그룹 환경, 보건, 안전 가이드라인
- 국제노동기구 작업장에서의 핵심 원칙 및 권리에 대한 성명서
- UN 기업 및 인권에 대한 기준 원칙
ESG 정책은 온실가스배출감소 지원을 위한 투자 선택, 프로젝트의 환경 보건 안전 지역사회에 대한 영향 평가, 인재영입, 임금, 작업장 안전, 다양성 정책 및 환경 사회 이슈에 대한 모니터링과 기록 등 주요 ESG관련 분야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뷔나에너지는 프로젝트의 전 과정에 걸쳐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중요하게 여기며, 지역 내 사회적/경제적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합니다. 지역사회 내의 인재영입을 통해 지역고용창출을 이끌고 다양한 자기계발 프로그램을 통하여 직원들의 훈련과 동기부여를 돕습니다.
지속가능성 인덱스
VENA ENERGY
지속가능성 척도

3,462,808
전력공급가정 수

4,255,994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4,481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919,221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70,933,228
수목 그루 수
VENA ENERGY
지속가능성 척도
총
8,501,376
Megawatt Hours
태양광
3,400,359
Megawatt Hours
풍력
5,101,017
Megawatt Hours

1,664,289
전력공급가정 수

6,653,346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8,032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1,413,695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109,984,452
수목 그루 수
호주
지속가능성 척도

32,815
전력공급가정 수

192,170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125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41,505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3,202,831
수목 그루 수
호주
지속가능성 척도
총
65,414
Megawatt Hours
태양광
65,414
Megawatt Hours
풍력
0
Megawatt Hours

2,908
전력공급가정 수

53,640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62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11,397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886,702
수목 그루 수
인도
지속가능성 척도

2,377,627
전력공급가정 수

2,160,387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1,840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466,606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36,006,443
수목 그루 수
인도
지속가능성 척도
총
4,737,205
Megawatt Hours
태양광
713,405
Megawatt Hours
풍력
4,023,800
Megawatt Hours

988,899
전력공급가정 수

4,311,031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4,480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916,003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71,264,355
수목 그루 수
인도네시아
지속가능성 척도

227,697
전력공급가정 수

272,527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301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58,861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4,542,122
수목 그루 수
인도네시아
지속가능성 척도
총
550,349
Megawatt Hours
태양의
11,949
Megawatt Hours
바람
538,400
Megawatt Hours

166,590
전력공급가정 수

443,679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521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94,272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7,334,325
수목 그루 수
일본
지속가능성 척도

310,264
전력공급가정 수

866,243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1,225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187,094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14,437,387
수목 그루 수
일본
지속가능성 척도
총
797,065
Megawatt Hours
태양광
797,065
Megawatt Hours
풍력
0
Megawatt Hours

45,230
전력공급가정 수

391,359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751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83,156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6,469,436
수목 그루 수
필리핀
지속가능성 척도

356,851
전력공급가정 수

336,224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372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72,619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5,603,735
수목 그루 수
필리핀
지속가능성 척도
총
1,551,610
Megawatt Hours
태양광
1,012,792
Megawatt Hours
풍력
538,817
Megawatt Hours

373,093
전력공급가정 수

1,081,315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1,465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229,757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17,874,894
수목 그루 수
대만
지속가능성 척도

102,102
전력공급가정 수

352,708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498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76,179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5,878,462
수목 그루 수
대만
지속가능성 척도
총
47,284
Megawatt Hours
태양광
47,284
Megawatt Hours
풍력
0
Megawatt Hours

1,474
전력공급가정 수

26,195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45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5,566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433,026
수목 그루 수
태국
지속가능성 척도

55,452
전력공급가정 수

75,735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119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16,357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1,262,248
수목 그루 수
태국
지속가능성 척도
총
752,449
Megawatt Hours
태양광
752,449
Megawatt Hours
풍력
0
Megawatt Hours

86,093
전력공급가정 수

346,127
온실가스배출감수 톤수

709
절감 용수량 (메가리터)

73,545
운행 승용차 감축 대수

5,721,713
수목 그루 수